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 자격조건 지급일 지급액)
5월 1일부터 근로장려금 정기신청 기간입니다. 정부 사이트만 들어가면 머리 아프셨던 분들 근로장려금 신청에 대해 깔끔하게 핵심만 짚어드릴게요. 신청방법 자세히 표기했으니 그대로 따라만 하세요. 가장 중요한 지급 금액과 지급일도 알아가세요.
< 순서 >
▣ 간단 정리 근로장려금이란?
-신청기간/ 지급일
1. 근로장려금 자격조건
2. 신청방법
3. 지급액
▣ 간단 정리 근로장려금이란?
근로, 즉 일은 하고 있지만, 소득이 작아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사업자 가구에 1년에 최대 300만 원의 금액을 지원해 주는 근로연계형 소득지원 제도입니다.
정기신청과 반기 신청 구분부터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본래 1년에 한 번 정기신청만 가능했지만 반기 신청 제도가 추가되었습니다. 장려금을 신청하고 지원금이 늦게 나올 수 있다 보니 지원이 급한 분들을 위해 추가된 제도입니다
근로장려금 정기신청 | 근로장려금 반기신청 | |
1년에 한번 신청 | 1년에 두번 신청 | |
근로 소득 사업 소득 종교인 소득 신청 가능 |
근로소득자만 신청 가능 |
|
대부분 추석 전 지급 | 상반기 소득 9월신청~12월 수령 |
하반기 소득 다음해 3월신청~6월수령 |
<근로장려금 정기 신청>
- 신청기간 : 5월 1일~6월 1일 사이
- 직전 연도 근로소득에 대한 지원금을 신청
- 신청년도 9월 중 지급
<근로장려금 반기 신청>
반기 신청은 1년에 두 번 신청할 수 있습니다. 상반기 소득과 하반기 소득기준으로 나뉘는데요.
- 1월~6월(상반기) 소득에 대해서 9월 1일~9월 15일에 신청하여, 다음 해 12월 경에 지급받게 됩니다.
- 7월~12월(하반기) 소득에 대해서는 다음 해인 3월 1일~3월 15일에 신청하여, 당해 6월 이후에 지급받게 됩니다.
▼우리는, 다가올 근로장려금 정기 신청기간인 5월 1일부터 6월 1일에 신청을 하면 됩니다.
1. 근로장려금 자격조건
우선, 근로장려금 신청을 누구나 가능해서 받게 되면 좋겠지만, 자격 조건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대한민국 국적이 아닌 경우
- 전문직 직업(변호사, 의사 등)에 종사 중인 경우
- 외국 국적자의 부양자녀인 경우
- 근로 소득이 아예 없는 경우
※ 근로장려금 제도는 소득이 잡히지 않으면 신청할 수 없습니다. (소득에 대한 세금을 내고 있어야지만 가능합니다.)
신청자격을 알기 위해선 2가지를 체크하시면 됩니다.
- 가구의 소득
- 가구의 재산
기준의 되는 가구는 3가지로 분류됩니다.
가구형태 | 소득기준 |
단독가구 | 연 소득 2,000만원 미만 |
홀벌이 가구 | 연 소득 3,000만원 미만 |
맞벌이 가구 | 연 소득 3,600만원 미만 |
☞ 맞벌이 가구 중, 배우자의 연간 소득액이 300만 원 미만이면 홀벌이 가구로 인정됩니다.
가구 구성원 모두 합한 재산이 전년도 6월 1일 기준 2억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재산의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토지, 건물, 승용차, 전세보증금, 금융재산, 유가증권, 골프회원권,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입주권, 분양권) 등
은행에서 빚이 있더라도 차감되지는 않습니다. (재산이 1억 4,000만 원 이상일 경우 근로장려금 지급액 50% 차감)
2. 신청방법
신청방법은 PC, 모바일, ARS를 통해 할 수 있습니다. 세 가지 중 편한 방법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PC 신청>
▷신청안내문을 받은 경우(간편 신청)
홈택스 로그인(공인인증서 인증) → 계좌, 전화번호 수정입력 또는 새로 입력 → 신청 확인 전송
▷신청안내문을 받지 않은 경우(일반 신청)
홈택스 로그인(공인인증서 인증)→ 소득, 재산, 계좌, 전화번호 수정입력 또는 새로 입력→ 신청 확인 전송
①PC에서 신청할 경우 '국세청 홈택스'를 검색해 들어가면 위에 보이는 것처럼 홈페이지 메인 페이지가 보일 겁니다. 중앙에 '신청/제출'을 클릭해 주세요.
②오른쪽 하단에 '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 신청'에서 '간편 신청하기'를 통해 신청하면 됩니다.
③지금은 신청기간이 아니어서 위처럼 알림 창이 뜨지만, 5월 1일 되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모바일 신청>
①'국세청 손 택스'를 검색해 앱을 다운받으세요.
②앱을 설치해 들어가면 상단에 '신청 제출'을 터치해주세요.
③첫 줄에 '근로·자녀장려금(정기)'로 들어가세요.
④신청하기를 통해 근로장려금 신청하면 됩니다. 4번째 줄에 있는 '계산 해보기'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ARS 신청>
1544-9944로 전화하면 ARS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장려금(1번) 선택 → 주민등록번호 13자리 확인 → 문자메시지로 받은 개별인증번호(8자리) 입력 → 안내받고 신청
☞평일 오전 9시 이전이나, 오후 6시 이후 또는 휴일에 이용하면 빠르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근로장려금 전용 전화상담 센터⊙
서울청 : 02-2114-2199
중부청 : 031-888-4199
인천청 : 032-718-6199
대전청 : 042-615-2199
광주청 : 061-236-7199
대구청 : 053-661-7199
부산청 : 051-750-7199
3. 정기 신청 지급액
가구의 소득 수준과 구성원 수에 따라 수령액이 나뉘어 있습니다.
<단독가구 : 최대 150만 원 지원>
총 급여액 등 | 근로장려금 지급액 |
400만원 미만 | 총 급여액 등 x 400분의 150 |
400만원 이상~900만원 미만 | 150만원 |
900만원 이상~2,000만원 미만 | 150만원-(총 급여액 등 - 900만원) x 1,100분의 150 |
※단독가구란? 배우자, 부양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없는 가구를 뜻 합니다.
<홀벌이 가구 : 최대 260만 원 지원>
총 급여액 등 | 근로장려금 지급액 |
700만원 미만 | 총 급여액 등 x 700분의 260 |
700만원 이상~1,400만원 미만 | 260만원 |
1,4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 | 260만원 - (총급여액 등 - 1,400만원) x 1,600분의 260 |
※홀벌이 가구란? 배우자가 있고, 배우자의 총급여액이 300만 원 미만이거나 부양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가구를 뜻합니다.
<맞벌이 가구 : 최대 300만 원 지원>
총 급여액 등 | 근로장려금 지급액 |
800만원 미만 | 총 급여액 등 x 800분의 300 |
800만원 이상~1,700만원 미만 | 300만원 |
1,700만원 이상~3,600만원 미만 | 300만원 - (총급여액 등 - 1,700만원) x 1,900분의 300 |
※맞벌이 가구란? 부부가 같이 벌고 있고, 총급여액이 300만 원 이상인 가구를 뜻 합니다.
◈ 근로장려금 반기 신청 지급액
- 단독가구 : 15만 원 ~ 52만 5,000원 지급
- 홀벌이 가구 : 15만 원 ~91만 원 지급
- 맞벌이 가구 : 15만 원 ~ 105만 원 지급
<지급액 계산하기>
위 표를 봐도 지급액을 잘 모르겠는 경우가 있죠. 근로장려금 지급액을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PC로 신청하기 위해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로 들어가셨다면, 위에서 정리한 신청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들어가 '계산해보기'를 통해 들어가면 간단하게 체크하고 입력한 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국세청 홈택스 앱을 통해서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배우자와 부양자녀 유무를 체크하고, 소득과 재산을 입력한 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블로그 추천 글 더 보기
에너지 바우처 신청
에너지 바우처 신청 21일 부터 에너지 바우처 신청이 가능합니다. 에너지 바우처란 무엇인지, 신청자격과 신청방법, 사용은 어떻게 하는지 정리했습니다. 가장 중요한 지원금액과 잔액조회 사용
ssugbujaeng.tistory.com
코로나 백신 접종 예약 방법 - 바로가기
코로나 백신 접종 예약 방법 - 바로가기 10일부터 65세 이상 백신 접종 사전예약을 시작했습니다. 부모님 또는 조부모님 대리 예약 많이들 하실 것 같은데요. 코로나 백신 접종 예약 방법과 주의
ssugbujaeng.tistory.com
근로장려금 신청 밥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매년 있는 근로장려금 신청이라 한 번만 잘 알아두면 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녀가 있으신 분들은 자녀장려금도 신청하세요. 신청에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정부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해열 진통제 (0) | 2021.06.11 |
---|---|
잔여백신 예약방법 (0) | 2021.05.27 |
코로나 백신 접종 인증서 - COOV (쿠브) 전자예방접종증명서로 확인 (0) | 2021.05.27 |
에너지 바우처 신청 (0) | 2021.05.21 |